티스토리 뷰
2022년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을 정리했습니다. 실기의 경우 소방기계시설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과 특성에 대한 이해와 소방시설 시스템 설계, 배치계획 및 설계서류 작성 및 적산 수행, 소방시설의 작동 및 유지관리 업무와 시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이론보다는 실무를 묻는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 😊
✔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 (적용기간 2019.01.01~2022.12.31)
■ 필기 (시험 유형 : 객관식 / 문제 수 : 80 / 시험시간 : 2시간)
[과목 1] 소방원론(문제수 : 20)
1. 연소이론
1-1. 연소 및 연소현상
- ① 연소의 원리와 성상
- ② 연소생성물과 특성
- ③ 열 및 연기의 유동의 특성
- ④ 열에너지원과 특성
- ⑤ 연소물질의 성상
- ⑥ LPG, LNG의 성상과 특성
2. 화재현상
2-1. 화재 및 화재현상
- ① 화재의 정의, 화재의 원인과 영향
- ② 화재의 종류, 유형 및 특성
- ③ 화재 진행의 제요소와 과정
2-2. 건축물의 화재현상
- ① 건축물의 종류 및 화재현상
- ② 건축물의 내화성상
- ③ 건축구조와 건축내장재의 연소 특성
- ④ 방화구획
- ⑤ 피난공간 및 동선계획
- ⑥ 연기 확산과 대책
3. 위험물
3-1.위험물 안전관리
- ① 위험물의 종류 및 성상
- ② 위험물의 연소특성
- ③위험물의 방호계획
4. 소방안전
4-1. 소방안전관리
- ① 가연물 위험물의 안전관리
- ② 화재 시 소방 및 피난계획
- ③ 소방시설물의 관리유지
- ④ 소방안전관리계획
- ⑤ 소방시설물 관리
4-2. 소화론
- ① 소화 원리 및 방식
- ② 소화 부산물의 특성과 영향
- ③ 소화설비의 작동원리 및 점검
4-3. 소화약제
- ① 소화약제 이론
- ② 소화약제 종류와 특성 및 적응성
- ③ 약제 유지관리
[과목 2] 소방 유체역학(문제수 : 20)
1. 소방유체역학
1-1. 유체의 기본적 성질
- ① 유체의 정의 및 성질
- ② 차원 및 단위
- ③ 밀도, 비중, 비중량, 음속, 압축률
- ④ 체적 탄성계수, 표면장력, 모세관현상 등
- ⑤ 유체의 점성 및 점성 측정
1-2.유체 정역학
- ① 정지 및 강체 유동(등가속도) 유체의 압력 변화, 부력
- ② 마노미터(액주계), 압력 측정
- ③ 평면 및 곡면에 작용하는 유체력
1-3. 유체유동의 해석
- ① 유체 운동학의 기초, 연속 방정식과 응용
- ② 베르누이 방정식의 기초 및 기본 응용
- ③ 에너지 방정식과 응용
- ④ 수력 기울기선, 에너지선
- ⑤ 유량측정(속도 계수, 유량 계수, 수축 계수), 피토관, 속도 및 압력 측정
- ⑥ 운동량 이론과 응용
1-4. 관내의 유동
- ① 유체의 유동 형태(층류, 난류), 완전 발달 유동
- ② 무차원 수, 레이놀즈 수, 관내 유량측정
- ③ 관내 유동에서의 마찰 손실
- ④ 부차적 손실, 등가 길이, 비원 형관 손실
1-5. 펌프 및 송풍기의 성능 특성
- ① 기본개념, 상사 법칙, 비속도, 펌프의 동작(직렬, 병렬) 및 특성 곡선, 펌프 및 송풍기 종류
- ② 펌프 및 송풍기의 동력 계산
- ③ 수격, 서징, 캐비테이션, NPSH, 방수압과 방수량
2. 소방 관련 열역학
2-1. 열역학 기초 및 열역학 법칙
- ① 기본개념(비열, 일, 열, 온도, 에너지, 엔트로피 등)
- ② 물질의 상태량(수증기 포함)
- ③ 열역학 1법칙(밀폐계, 교축 과정 및 노즐)
- ④ 열역학 2법칙
2-2. 상태변화
- ① 상태변화(폴리트로픽 과정 등)에 따른 일, 열, 에너지 등 상태량의 변화량
2-3. 이상기체 및 카르노사이클
- ① 이상기체의 상태 방정식
- ② 카르노사이클
- ③ 가역 사이클 효율
- ④ 혼합가스의 성분
2-4. 열전달 기초
- ① 전도, 대류, 복사의 기초
[과목 3] 소방관계 법규(문제수 : 20)
1.소방 기본법
1-1.소방 기본법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소방기본법
- ② 소방기본법 시행령
- ③ 소방기본법 시행규칙
- ④ 소방 기본 법령에 관한 기타 관련 사항
2.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
2-1.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
- ②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시행령
- ③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시행규칙
- ④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 기타 관련 사항
3. 소방시설 공사업법
3-1.소방시설 공사업법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소방시설공사업법
- ②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
- ③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
- ④ 소방시설공사업 법령에 관한 기타 관련 사항
4. 위험물 안전관리법
4-1.위험물 안전관리법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위험물안전관리법
- ②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
- ③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
- ④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에 관한 기타 관련 사항
[과목 4] 소방기계 시설의 구조 및 원리(문제수 : 20)
1. 소방기계 시설 및 화재안전기준
1-1. 옥내·외 소화전설비
-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②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③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2. 스프링클러 설비
- ①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② 간이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③ 화재 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기타 관련 사항
- ④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3. 포 소화설비
- ① 포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
- ②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4. 이산화탄소와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및 청정 소화약제 소화설비
-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②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기타 관련 사항
- ③ 청정 소화약제 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 기타 관련 사항
- ④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5. 분말 소화설비
- ①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
- ②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6. 물분무 및 미분무 소화설비
- ① 물분무 및 미분무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
- ②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7. 소화기구
- ① 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
- ②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 및 기타 관련 사항
1-8. 피난설비
- ①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
- ② 인명구조기구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1-9. 소화 용수 설비
- ① 상수도 소화용수설비
- ② 소화수조 및 저수조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1-10. 소화 활동 설비
- ①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②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제연설비
- ③ 연결송수관 설비의 화재안전기준
- ④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및 기타 관련 사항
- ⑤ 연소방지시설의 화재안전기준
1-11. 기타 소방기계설비
- ① 기타 소방기계설비의 화재안전기준
■ 실기 (시험 유형 : 필답형 / 시험시간 : 3시간)
[과목] 소방기계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
1. 소방기계시설 설계
1-1.작업 분석하기
- ① 현장 여건, 요구사항 분석을 할 수 있다.
- ② 기본계획 수립, 기본설계서, 실시설계서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③ 공사시방서, 공사내역서, 운영관리 지침서를 작성할 수 있다.
1-2. 소방기계시설 구성하기
- ① 재료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② 소방기계시설의 기기 및 부품을 조작할 수 있다.
- ③ 소방기계시설의 기능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1-3. 소방시설의 시스템 설계하기
- ① 소방기계시설을 구성하는 재료의 규격 및 크기를 산정할 수 있다.
- ② 소방기계시설의 물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.
- ③ 소방기계시설 자료의 활용을 할 수 있다.
- ④ 도면작성 및 판독을 할 수 있다.
- ⑤ 시방서의 작성 등을 할 수 있다.
1-4. 소방시설의 배치계획 및 설계서류 작성하기
- ① 계통도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② 평면도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③ 상세도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④ 소방기계시설의 설계 및 시공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.
- ⑤ 소방기계설비의 적산 등을 할 수 있다.
2. 소방기계시설 시공
2-1. 설계도서 검토하기
- ① 설계도서 상의 누락, 오류, 문제점을 검토하여 설계도서 검토서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② 설계도면, 시공 상세도, 계산서를 검토하여 시공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다.
2-2. 소방기계시설 시공하기
- ① 소화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② 옥내·외 소화전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③ 스프링클러(간이스프링클러)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④ 물분무 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⑤ 포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⑥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⑦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⑧ 분말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⑨ 청정 소화약제 소화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⑩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⑪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⑫ 거실 제연 및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의 제연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⑬ 연결송수관 설비, 연결살수설비, 연소방지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- ⑭ 기타 소방기계시설 관련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.
2-3. 공사 서류 작성하기
- ① 시공된 시설을 검사하여 설계도서와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.
- ② 시공된 시설을 검사하여 관련 서류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③ 공정관리 일정을 계획하여 공사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.
3. 소방기계시설 유지관리
3-1. 소방시설의 작동 및 유지관리 하기
- ① 소방시설의 기술 공무 관리 및 실무 작업을 할 수 있다.
- ② 기계시설의 점검 및 조작을 할 수 있다.
- ③ 계측 및 사고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.
- ④ 재해방지 및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.
- ⑤ 자재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.
3-2. 소방기계 시설의 유지보수 및 시험 점검하기
- ① 유지보수 관리 및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
- ② 시험 및 검사를 할 수 있다.
- ③ 기계기구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다.
- ④ 설치된 소방시설을 정상 가동하고, 작동기능 점검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.
- ⑤ 종합정밀 점검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.
- ⑥ 소방시설 운영에 관한 업무 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⑦ 기록 사항을 분석하여 보수·정비를 할 수 있다.
- ⑧ 보수에 필요한 부품 및 장비를 확보하고, 점검 기록부를 작성 보존할 수 있다.
2022 소방설비기사 시험일정·응시자격
건물이 과거와 달리 규모도 크고 층도 고층화 되고 있습니다. 이런 건물들이 번화가나 인구밀집지역에 밀집되면서 화재의 위험도 높아졌습니다. 이런 화재의 위험을 초기에 진압하여 국민의 생
purpleel.com
2022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출제기준 총정리
이번 포스팅은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에 이어, 2022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출제기준을 정리했습니다. 전기분야의 실기는 소방전기 설비 시공을 위한 작업분석, 화재예방을 위한 경
purpleel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