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이번 포스팅은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에 이어, 2022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출제기준을 정리했습니다. 전기분야의 실기는 소방전기 설비 시공을 위한 작업분석, 화재예방을 위한 경보설비 등의 설치, 소방전기 설비의 설계 및 시공, 소방 전기시설의 조작과 유지 보수 및 시험·점검 등 실제 업무와 관련된 사항에 대해 소방안전관리자로서 처리 가능한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그럼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필기와 실기의 상세 출제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✔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 (적용기간 2019.01.01~2022.12.31)
■ 필기 (시험 유형 : 객관식 / 문제수 : 80 / 시험시간 : 2시간)
[과목 1] 소방원론(문제수 : 20)
1. 연소이론
1-1. 연소 및 연소현상
- ① 연소의 원리와 성상
- ② 연소생성물과 특성
- ③ 열 및 연기의 유동의 특성
- ④ 열에너지원과 특성
- ⑤ 연소물질의 성상
- ⑥ LPG, LNG의 성상과 특성
2. 화재현상
2-1. 화재 및 화재현상
- ① 화재의 정의, 화재의 원인과 영향
- ② 화재의 종류, 유형 및 특성
- ③ 화재 진행의 제요소와 과정
2-2. 건축물의 화재현상
- ① 건축물의 종류 및 화재현상
- ② 건축물의 내화성상
- ③ 건축구조와 건축내장재의 연소 특성
- ④ 방화구획
- ⑤ 피난공간 및 동선계획
- ⑥ 연기 확산과 대책
3. 위험물
3-1. 위험물 안전관리
- ① 위험물의 종류 및 성상
- ② 위험물의 연소특성
- ③ 위험물의 방호계획
4. 소방안전
4-1. 소방안전관리
- ① 가연물·위험물의 안전관리
- ② 화재 시 소방 및 피난계획
- ③ 소방시설물의 관리유지
- ④ 소방안전관리계획
- ⑤ 소방시설물 관리
4-2. 소화론
- ① 소화 원리 및 방식
- ② 소화 부산물의 특성과 영향
- ③ 소화설비의 작동원리 및 점검
4-3. 소화약제
- ① 소화약제 이론
- ② 소화약제 종류와 특성 및 적응성
- ③ 약제 유지관리
[과목 2] 소방전기일반(문제수 : 20)
1. 전기회로
1-1. 직류회로
- ① 전압과 전류
- ② 전력과 열량
- ③ 전기저항
- ④ 전류의 열작용과 화학작용
1-2. 정전용량과 자기회로
- ① 콘덴서와 정전용량
- ② 전계와 자계
- ③ 자기회로
- ④ 전자력과 전자유도
- ⑤ 전자파
1-3. 교류회로
- ① 단상 교류회로
- ② 3상 교류회로
2. 전기기기
2-1. 전기기기
- ① 직류기
- ② 변압기
- ③ 유도기
- ④ 동기기
- ⑤ 소형교류전동기, 교류정류기
- ⑥ 전력용 반도체에 의한 전기기기 제어
2-2. 전기계측
- ① 전기계측기기의 구조 및 원리
- ② 전기 요소의 측정
3. 제어회로
3-1. 자동제어의 기초
- ① 자동제어의 개요
- ② 제어계의 요소 및 구성
- ③ 블록선도
- ④ 전달함수
3-2. 시퀀스 제어회로
- ① 불대수의 기본정리 및 응용
- ② 무 접점논리회로
- ③ 유 접점회로
3-3. 제어기기 및 응용
- ① 제어기기의 구성요소
- ② 제어의 종류 및 특성
4. 전자회로
4-1. 전자회로
- ① 전자현상 및 전자소자
- ② 정전압 전원회로 및 정류회로
- ③ 증폭회로 및 발진회로
- ④ 전자회로의 응용
[과목 3] 소방관계법규(문제수 : 20)
1. 소방기본법
1-1. 소방기본법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소방기본법
- ② 소방기본법 시행령
- ③ 소방기본법 시행규칙
- ④ 소방기본법령에 관한 기타 관련 사항
2.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
2-1.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
- ②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
- ③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
- ④ 화재예방,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 기타 관련 사항
3. 소방시설 공사업법
3-1. 소방시설공사업법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소방시설공사업법
- ②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
- ③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
- ④ 소방시설공사업 법령에 관한 기타 관련 사항
4. 위험물안전관리법
4-1. 위험물안전관리법, 시행령, 시행규칙
- ① 위험물안전관리법
- ②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
- ③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
- ④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관한 기타 관련 사항
[과목 4] 소방전기 시설의 구조 및 원리(문제수 : 20)
1. 소방전기시설 및 화재 안전기준
1-1.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특징, 동작원리, 배선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2. 비상방송설비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구성, 기능, 동작원리, 배선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3.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
- ① 설치대상, 경계구역, 비화재보 원인과 대책, 화재안전기준
- ② 각 구성기기의 종류 및 특징,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4. 자동화재속보설비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구성과 종류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5. 누전경보기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종류, 구성, 특징, 동작원리, 변류기 설치와 결성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6. 유도등 및 유도표지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구성, 기능, 동작원리, 전원, 배선 시험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7. 비상조명등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구성, 전원, 배선, 시험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8. 비상콘센트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구조, 기능,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 및 보호함, 배선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9. 무선통신보조설비
- ① 설치대상과 기준, 구조, 기능, 사용방법, 누설동축케이블
- ② 화재안전기준 등 기타 관련 사항
1-10. 기타 소방전기시설
- ① 상용전원, 비상전원 등 기타 관련 사항
■ 실기 (시험 유형 : 필답형 / 시험시간 : 3시간)
[과목]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
1. 소방전기시설 설계
1-1. 작업분석하기
- ① 현장 여건, 요구사항 분석을 할 수 있다.
- ② 기본계획 수립, 기본설계서, 실시설계서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③ 공사시방서, 공사내역서를 작성할 수 있다.
1-2. 소방전기시설 구성하기
- ① 자재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② 소방전기시설의 기기 및 부품을 조작할 수 있다.
- ③ 소방전기시설의 기능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1-3. 소방전기시설 설계하기
- ① 물량 및 공량을 산출할 수 있다.
- ② 전기기구의 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.
- ③ 회로방식 설정 및 회로 용량을 산정할 수 있다.
- ④ 도면작성 및 판독을 할 수 있다.
- ⑤ 시방서의 작성 등을 할 수 있다.
1-4. 소방시설의 배치계획 및 설계서류 작성하기
- ① 계통도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② 평면도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③ 상세도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④ 소방 전기시설의 시공 계획수립 및 실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2. 소방전기시설 시공
2-1. 설계도서 검토하기
- ① 설계도서 상의 누락, 오류, 문제점을 검토하여 설계도서 검토서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② 설계도면, 시공 상세도, 계산서를 검토하여 시공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다.
2-2. 소방전기시설 시공하기
- ① 자동화재탐지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② 자동화재속보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③ 누전경보기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④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⑤ 제연설비의 부대 전기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⑥ 비상콘센트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⑦ 무선통신보조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⑧ 가스누설경보기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⑨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⑩ 상용 및 비상전원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⑪ 종합방재센터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⑫ 소화설비의 부대 전기설비를 할 수 있다.
- ⑬ 기타 소방전기시설 관련 설비를 할 수 있다.
2-3. 공사 서류 작성하기
- ① 시공된 시설을 검사하여 설계도서와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.
- ② 시공된 시설을 검사하여 관련 서류를 작성할 수 있다.
- ③ 공정관리 일정을 계획하여 공사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.
3. 소방전기시설 유지관리
3-1. 소방전기시설 운영 관리하기
- ① 전기기기 점검 및 조작을 할 수 있다.
- ② 회로 점검 및 조작을 할 수 있다.
- ③ 재해방지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.
- ④ 자재관리를 할 수 있다.
- ⑤ 기술 공무관리를 할 수 있다.
3-2. 소방전기시설 유지보수 및 시험·점검하기
- ① 전기기기 보수 및 점검을 할 수 있다.
- ② 시험 및 검사를 할 수 있다.
- ③ 계측 및 고장요인 파악을 할 수 있다.
- ④ 유지보수관리 및 계획 수립을 할 수 있다.
- ⑤ 설치된 소방시설을 정상 가동하고, 자체 점검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.
- ⑥ 기록 사항을 분석하여 보수·정비를 할 수 있다.
2022 소방설비기사 시험일정·응시자격
건물이 과거와 달리 규모도 크고 층도 고층화 되고 있습니다. 이런 건물들이 번화가나 인구밀집지역에 밀집되면서 화재의 위험도 높아졌습니다. 이런 화재의 위험을 초기에 진압하여 국민의 생
purpleel.com
2022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 총정리
2022년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출제기준을 정리했습니다. 실기의 경우 소방기계시설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과 특성에 대한 이해와 소방시설 시스템 설계, 배치계획 및 설계서류 작성 및 적산
purpleel.com